본문 바로가기
건강

코로나로 혼동되기도 하는 냉방병의 증상과 예방법

by d○b 2021. 7. 13.
반응형

폭염과 열대야로 너무 더운 여름에 가장 유용한 것은 에어컨 아닐까요? 그러나 에어컨을 잘못 사용하면 냉방병에 걸려서 피곤한 여름을 보내게 될지도 모릅니다. 특히 냉방병 증상은 코로나와 유사하기 때문에 정확한 증상을 알고 있을 필요가 있는 시기입니다. 냉방병 없이 건강한 여름을 보내기 위하여 증상과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냉방병은 실내에서 지나친 냉방으로 인해 감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병이라고 부르지만 의학적으로 정의된 질병은 아니고, 증후군이라는 명칭이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냉방병은 크게 온도차에 의한 것과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것으로 분류됩니다. 일반적으로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수식어 없이 냉방병이라 하고, 균에 의한 것을 레지오넬라증이라고 합니다.

 

냉방병

무더운 여름철에 에어컨을 사용하여 시원하게 하는 것이 왜 냉방병을 유발할까요? 오히려 좋은 것 아닐까요?

이유는 우리 몸의 체온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가 이상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냉방으로 인하여 실내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지나치게 커지면 신체는 그 온도 차이를 적응해야 합니다. 이때 신체가 이러한 온도 변화를 잘 적응하지 못하면 냉방병이 발생하게 됩니다.

 

냉방병에 걸리면 졸리거나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이유도 체온 유지를 위하여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름에 밀폐된 공간 속에서 지속적인 냉방기구의 찬 공기는 습도를 약 30~40% 감소시켜 호흡기를 건조하게 하여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레지오넬라증

에어컨의 냉각수나 공기가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되었을 때, 이 균들이 냉방기를 통해 퍼지고,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흡입되어 감염됩니다. 증상에 따라  레지오넬라증은 "레지오넬라 폐렴"과 "폰티악 열"로 분류합니다.

 


1. 증상

 

냉방병
  • 기침, 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의 호흡기 질환
  • 소화불량, 하복부 불쾌감, 배탈
  • 고열, 두통
  • 나른함, 피곤함, 전신 근육통
  • 생리불순, 생리통이 심해짐
  • 만성질환의 악화

레지오넬라 폐렴
  • 잠복기 약 2~10일
  • 발병 3일째부터 X-ray검사로 폐렴 증상 확인 가능
  • 입맛 없음(발병 초기)
  • 전신 권태감, 허약감
  • 오한, 고열
  • 근육통
  • 마른기침
  • 복통, 설사

완전한 증상이 호전되는 시점에서 최소 한 달에서 4개월의 지속적인 진료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폰티악 열
  • 잠복기 약 5시간~3일(대부분 24~48시간)
  • 급성 발열, 오한
  • 근육통

특별한 치료 없이 2~5일 내 자연적인 회복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냉방병의 증세는 감기 혹은 코로나 증상과 유사합니다. 다만 코로나는 먼저 발열만 있다가 그다음에 후각과 미각의 상실 등 여러 증상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 확산되고 있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증상은 콧물, 기침, 두통 등 일반 감기와 증세가 비슷하여 더 구분이 어려워졌습니다.  따라서 냉방병 증상에 대한 세심한 주의관찰이 필요합니다.

 

냉방병은 충분한 휴식과 몸을 따뜻하게 하면 좋아집니다. 게다가 에어컨도 끄면 대체적으로 완화가 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다른 유사 질환과 약간의 구분이 가능합니다.

 

 

 

2. 예방방법

 

  1. 실내외 온도 차는 5~6℃ 넘지 않기
  2. 실내온도는 25~28℃ 유지
  3. 에어컨 송풍 방향은 사람이 적은 쪽으로 하기
  4. 에어컨 필터는 최소 2주에 한 번 청소 하기
  5. 환기를 위해 2~4시간마다, 5분 이상 창문을 열기
  6. 실내에만 있지 말고, 외부에 나가 바깥공기를 마시기
  7. 찬 공기가 피부에 직접 닿지 않게 긴소매 옷 활용

 

위와 같은 환경개선으로 예방이 가능하지만 몸이 허약하면 냉방병에 더 잘 걸릴 수 있습니다. 평소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으로 개인의 건강관리도 함께 진행되면 더욱 예방 효과가 큽니다.

 

 

반응형

댓글